간호학

[인체해부학] 피부계 (2) 피부의 질병과 장애

밀카라 2024. 1. 20. 23:11
반응형

피부색조 

 정상 피부색은 흑색소, 황색소, 혈색소와 피부에 존재하는 혈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  멜라닌 

 멜라닌은 신경능이라고 하는 배아외배엽의 한 형태에서 유래되는 멜라닌세포에서 형성되는 흑갈색이다. 멜라닌세포는 진피와 표피의 경계 부위에 위치하고, 멜라닌을 생성하는 과립을 어린 표피세포로 보내게 된다. 멜라닌은 자외선의 파괴 효과로 부터 표피세포를 보호해 준다. 

 

  • 카로틴 

 카로틴은 표피세포에 이상적으로 있는 황색소이며 동양인의 피부에 풍부해서 황갈색의 피부를 형성한다. 이 카로틴 색소는 홍당무나 기타 녹황색 채소의 색깔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홍당무를 많이 섭취하면 피부가 국소적으로 더 노랗게 변조된다. 

 

  •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안에 있으며 산소와 결합하는 색소이다.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되면 혈액의 색은 선홍색이 된다. 살아있는 몸은 진피의 혈관 내를 흐르는 산소와 결합된 헤모글로빈 때문에 피부가 핑크색으로 보인다. 

 

이상색소 

 생리적으로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할 때 우리 몸은 신체적 변화에 따라 피부색조에 이상이 생긴다. 

  • 청색증 : 청색증은 진피의 혈관을 흐르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지 못하여 피부가 흑청색으로 보이는 상태이며, 심맥관계나 호흡기계에 질병이 있는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 황달 : 황달은 피부색이 노랗거나 녹색으로 변하는 상태인데, 이는 혈류에 담즙색소가 다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로 간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나타난다. 
  • 혈색소증 : 혈색소증은 혈색소대사의 장애로 생기며, 청동색의 피부색을 나타내게 되는 상태이다. 다량의 수혈을 받거나, 정맥주사로 철을 공급받은 후에 잘 생긴다. 

피부의 혈액공급

 피부에는 수많은 혈관망이 있다. 피부의 소동맥은 피하지방근막과 상부 및 하부에서 혈관총을 형성한다. 표재총에서 갈라지는 한선, 모낭, 피지선 주위에 수많은 모세혈관망을 형성한다. 표재총은 진피유두에도 모세혈관 고리를 만들어 표피의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다. 

 피부의 정맥은 소동맥총과 평행하게 그물망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피부에는 동정맥문합이 되어 있어 표층의 피부동맥에서 직접 심층의 정맥으로 혈류가 흐를 수 있다. 인체가 열을 보존하고자 할 때 이러한 문합기전의 작동으로 피부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피부의 신경지배

 피부는 외계의 많은 자극을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피부에는 여러 종류의 수용기와 효과기가 풍부하다. 

 

피부의 질병과 장애

피부 병변의 정의 Definition of integumentary lasions

  • 반점 : 피부의 평평한 반점으로 붉거나 갈색
  • 구진 : 작고 융기된 피부병변으로, 가끔 침끝처럼 보이나 대개는 좁쌀 같은 모양
  • 팽진 : 단단하고 융기된 불규칙한 병변으로, 알레르기에 의하여 일어나는 두드러기
  • 소수포 : 작은 물집
  • 대수포 : 큰 물집
  • 농진 : 고름이 들어 있는 작은 병변들
  • 낭종 : 액체가 들어있는 혹
  • 결절 : 구진보다 크고 tumor보다 작으며 단단한 혹
  • 각화층 : 융기되고, 가끔 인설이 있는 우체양 병변
  • 우종 : 사마귀
  • 용종 : 줄기가 있는 혹
  • 구열 : 피부에 균열이 생긴 것
  • 궤양 : 피부에 진피나 피하지방층까지 조직이 손실되어 팬 것. 

백색증 albinism

 백색증은 유전성 색소이상 질환으로서 피부, 모발, 눈의 멜라닌 색소가 완전히 결여되어 희게 보이는 것이며, 백색증 환자 albino는 흰색의 피부, 노란모발, 붉은 눈을 가지게 된다. 이들은 태양광선으로부터 보호기능이 없다. 

 

욕창 bed sore

 어깨나 엉치뼈처럼 뼈가 튀어나온 부위의 피부에 궤양이 생긴 것이며, 주로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뼈가 튀어나온 부위의 피부가 압박되면서 혈관순환이 감소되고, 피부가 괴사와 궤양을 나타낸다. 욕창을 방지하려면 체위를 자주 2시간마다 바꿔주고, 청결을 유지하며, 혈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박되는 피부를 마사지 한다. 최근에는 물침대가 고안되어 욕창 예방에 도움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물침대의 표면이 움직이므로 체중의 분산을 통해 피부 압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화상 burn

 화상은 열, 뜨거운 액체, 수증기, 화학물질, 전기, 자외선 등에 의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것이며, 피부의 손상 정도에 따라 3가지 등급으로 분류한다. 

1도화상 : 표피만 손상된 화상이며, 피부는 발적되고 흉터가 남지 않는다. 

2도화상 : 표피 및 진피까지 손상된 화상이며, 물집이 생긴다. 

3도화상 : 표피 및 진피, 피하지방근막까지 손상된 심한 화상이며, 선/모낭이 재생되지 않고, 심한 흉터를 남기며, 치료를 위해서 피부이식 수술이 필요하다. 

 

피부바이러스성 질환 Dermatrophic viral disease 

천연두

수두

홍역

풍진

단순포진

심상성우종

 

각화증

 각화증은 노인이나 장기간 햇빛에 노출된 사람에게 생기는데, 갈색의 사마귀 모양의 피부병변이다. 가끔 전구암이 되기도 하는데 표피가 과다하게 자란 것이다. 

 

악성 피부병변 

 

 표피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3가지 피부암은 다음과 같다. 

 - 기저세포종 basal cell carcinoma 

 발아층의 기저층에서 유래되는 악성도가 낮은 표피암이며, 강한 태양광선에 장기간 노출된 사람에게 잘 생긴다. 

 

 -편평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발아층의 유극층에서 유래되는 중증도의 악성도를 가진 표피암이며, 만성적인 피부자극을 받거나 각화증 같은 전구암이 있는 사람에게 잘 생긴다. 

 

- 악성 흑색종 Malignant melanoma

 표피의 멜라닌세포에서 유래되는 고도의 악성도를 가진 표피암이며 안면부, 경부, 사지의 모반 검은 점에서 잘 발생된다. 

 

 

출처 : 현문사 인체 해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