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내분비장애 - 부갑상샘 기능장애

밀카라 2022. 11. 29. 21:34
반응형

1. 구조와 기능

 부갑상샘은 보통 갑상샘의 뒤쪽 표면에 위치하며, 아래 위로 2쌍씩 4개가 있는데, 간혹 2개나 6개인 사람도 있다. 부갑상샘은 크기가 작고 그 수나 위치가 다양하여 부위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갑상샘 수술 시에 실수로 절제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부갑상샘이 손상되면 일시적으로 부갑상샘 기능이 저하되지만 남은 하나의 부갑상샘이 커져서 필요량만큼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게 된다.

 

 부갑상샘은 부갑상샘호르몬을 생산하고 분비한다. PTH의 기본적인 기능은 혈청 칼슘과 인을 조절하는 것인데, 칼슘과 인은 비타민 D와 Calcitonin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칼슘은 체내의 주요한 이온으로 골격구조와 신경근육 활동과 대사활동에 필수적이다. PTH의 3가지 표적 부위는 신장, 뼈, 위장관이다. PTH가 이 세 곳에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식사를 통해 비타민 D를 흡수해야 한다. 

 

 PTH는 신장의 신세뇨관에 직접 작용하여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인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소변으로 인의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 내 인과 칼슘의 균형을 유지하며, 신장에서 비타민 D3를 활성 형태로 전환시킨다. 

 

 뼈는 체내 칼슘의 주요 근원이다. 혈청 칼슘농도가 저하되면 PTH는 뼈에서 칼슘을 혈액으로 방출시킨다. 혈청 칼슘 농도가 올라가면 PTH 분비가 감소하여 과도한 칼슘을 뼈로 다시 되돌려 보내거나 소변으로 배설시킨다. PTH는 파골 작용을 증가시키고, 골아세포에 작용하여 파골세포로 변환시킨다. 정상 상태에서 분해와 합성 사이의 관계는 평형을 이룬다. PTH는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돕는다. 이 과정에서 비타민 D는 장점막을 통한 칼슘의 흡수를 돕는다. 

 

 calcitonin은 혈청 칼슘농도를 낮추어 PTH에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calcitonin은 PTH와 동일한 표적기관에 영향을 주어 뼈의 무기질 성분이 빠져나가게 하고,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감소시켜 저칼슘혈증을 유발한다. 이 2가지 기전을 통해 세포외액의 칼슘 이동률을 줄여 저칼슘혈증을 촉진시킨다. calcitonin은 1시간 이내에 효과를 발휘하는 속효성이기 때문에 갑자기 혈청 칼슘농도가 상승했을 때 효과적이지만 PTH와 같은 지속적인 효과는 없다. 

 

 부갑상샘은 혈청 칼슘농도에 반응하여 부갑상샘호르몬을 분비한다. 혈청 인산농도는 혈청 칼슘농도와 반대 관계에 있어서 인산농도가 증가하면 칼슘농도는 감소한다. 부갑상샘 기능장애에서 혈청 칼슘과 혈청 인은 모두 변화한다. 

 

2. 진단검사

 1) 혈청 칼슘농도

 혈청 칼슘농도는 이온화된 칼슘과 단백질과 결합한 비활동성의 혀렁 칼슘을 합한 것을 나타낸다. 혈청 칼슘농도는 혈청 내 단백질, 특히 알부민치에 의존하여 1g/dL의 알부민 감소는 0.8~1 mg/dL의 칼슘 저하를 의미한다. 혈청 내 단백질의 증가는 혈청 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므로 혈청 칼슘농도를 평가할 때, 혈청 인과 혈청 단백질농도를 고려해야 한다. 

 

 혈청 칼슘농도의 상승 원인은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혈청 단백질의 상승, 뼈의 무기질이 소실되는 상태, 과도한 비타민  D 흡수, 전이성 골암, 이소성 PTH 생성 종양 등이다. 혈청 칼슘농도는 원발성과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신장질환, 뼈의 생산이 증가한 상태, 장기간의 phenytoin 치료 시 감소한다. 

 

2) 혈청 인농도 

 혈청 칼슘과 인의 농도는 상호 반대 관계에 있다. PTH에 의해 신세뇨관에서 인의 재흡수와 배설작용이 일어난다. 혈청 인농도의 증가는 원발성과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만성 신부전, 성장호르몬 과잉 분비 상태, 장기간 많은 양의 제산제나 비타민 D 혹은 heparin, tetracycline 복용 등에서 볼 수 있다. 혈청 인이 감소하는 경우는 혈청 칼슘이 증가하는 모든 상태, 즉 여성의 생리 기간, 식후, 인슐린, epinephrine, aluminum hydroxide, 최근 전신마취를 한 경우 등이다. 

 

3) 혈청 부갑상샘호르몬 농도

 혈청 내 PTH농도는 방사성 면역분석검사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며,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을 진단하는데 기본이 된다. 검사물을 실험실로 보낼 때 얼음에 채워서 보내야 한다. 

 

PTH의 증가는 부갑상샘이 아닌 부위의 이소성 PTH생성 종양에 대한 정상 보상기전으로 PTH가 증가한다. 

 

PTH 농도 저하는 부갑상샘 기능저하증과 전이성 골암에서 고칼슘혈증에 대한 반응으로 온다. 또한 갑상샘이나 부갑상샘 절제 후에 PTH 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PTH 농도는 1일 신체리듬 주기 중 아침에 낮아진다. 

 

3. 부갑상샘질환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1) 원인과 위험요인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부갑상샘호르몬의 과잉 분비로 순환 혈청 내의 칼슘농도는 증가하고, 인의 농도는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2배 정도 빈발하고, 40세 이상에서 흔하다.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원인에 따라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분류한다. 

 

2) 병태생리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PTH가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이다. 증가된 PTH는 골격계에서 뼈의 파골작용을 증가시켜 혈청 칼슘의 상승을 초래하고, 골감소증과 심한 경우에는 골절과 관절의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PTH가 증가하면 신장의 사구체는 칼슘과 인을 재흡수하고, 중탄산의 배설은 증가시킨다.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1) 원인과 위험 요인

 부갑상샘 기능저하증은 PTH의 분비가 부족하거나 호르몬의 작용이 감소되어 발생한다. 이때 혈청 칼슘 농도는 감소하고 인은 상승하며, ALKALINE PHOSPHATASE는 정상이고, 소변 내 칼슘은 없거나 감소되는 것이 특징이다. 부갑상샘 기능저하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외과적 혹은 방사선유도 갑상샘 절제
  • 부갑상샘 절제술
  • 선천성 이상
  • 특발성(자가면역성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 저마그네슘혈증

 

 

출처 :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